자동차보험 2대 동일증권 장단점 및 가입시기
안녕하세요. '당근 있어요'입니다. 요즘에는 한 가구에 2대 이상 차량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흔한데요. 어쩌다 보니 저희 집 역시 차량을 3대 소유하게 되었습니다. 보험료 부담과 카드할인 등 이유로 각각 다른 보험사에 매번 가입해서 관리하고 있었는데요. 최근에 자동차 한 대가 사고가 발생해서 보험료 할증을 걱정하게 되었습니다.
손해를 줄이는 방법을 검색하다 보니 동일증권에 대해 알게 되었고 검색한 내용을 바탕으로 2대 이상 자동차보험 동일증권 가입 시 장단점 및 가입시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동일증권이란?
동일증권이란? 소유주가 같은 2대 이상의 자동차를 같은 보험사에 가입해 만기일자를 일치시켜 관리하는 것을 동일증권이라고 합니다.
단 동일증권으로 묶기 위해서는 조건이 있는데요.
1. 소유주가 같을 것
2. 자동차 만기일을 같이 할 것
3. 자동차보험에 가입 시 같은 보험사로 가입할 것
4. 차량의 종류가 승용차, 경승합차, 경화물차, 4종화물차인 경우
차량의 종류가 조건 이외의 차량이거나 차주가 단체(법인)인 경우 동일증권이 불가능합니다.
동일증권의 장단점
동일증권을 고민하고 묶는 이유는 보험료 할증을 줄이기 위해서입니다.
차량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소유하고 있는 자동차 모두 1점씩 할증이 붙게 되는데요. 만약 동일 증권으로 묶는다면 사고가 있는 차량은 할증, 사고가 없는 차량은 할인이 적용되고 이를 평균한 값이 소유하고 있는 모든 차량에 적용되어 보험료 할증으로 인한 보험료 인상이 적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추가로 자동차보험 만기일자를 일치시켜 놓으면 다수의 자동차를 관리하기가 편합니다.
하지만 보험료 일시납에 대한 부담과 소유 중인 차량 모두 사고가 없는 경우 무사고 할인 적용이 적어 동일증권으로 묶지 않는 것이 유리합니다. 또한 차량마다 자동차 보험혜택을 비교 가입하지 못해 비싸게 자동차보험을 가입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보험 동일증권 가입시기
동일증권의 장단점에 대해 알아본 것처럼 소유 중인 차량 모두가 사고가 없는 경우는 굳이 동일증권으로 묶을 필요가 없습니다. 소유 중이 차량에 사고가 발생해서 보험료 할증을 걱정하게 되는 경우 자동차보험 갱신 때 동일증권 보험금액을 비교한 후 동일증권이 저렴할 때 동일증권으로 묶으면 됩니다.
재밌게 보셨다면 ♥공감 버튼을 한 번씩 눌러주세요.!!!
'정보와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통기한 지난 커피믹스, 아직 먹을 수 있을까? 버릴까 말까? (0) | 2025.04.13 |
---|---|
고속도로 로드킬 보험처리 경험과 신고방법 (0) | 2024.06.06 |
고속도로 잘못 진입 시 회차로 이용 유턴 방법 (0) | 2024.03.25 |
수능 놓치면 안 될 대박 혜택 이벤트 총정리 (0) | 2023.11.15 |
트랙스 크로스오버 - 안드로이드 오토(Android Auto) 사용법 (0) | 2023.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