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와 이슈

고속도로 로드킬 보험처리 경험과 신고방법

 고속도로 로드킬 보험처리 경험과 신고방법

 

안녕하세요. '당근있어요.'입니다.

 

자동차 구입후 일주일 만에 새벽에 고속도로를 주행하다 고라니와 충돌을 하였습니다. 야간이고 급한 일이 있어 우선 보험사에 사고 접수만 하고 아침에 확인을 해보니 범퍼가 완전 박살 나 있었습니다. 

 

주말이라 수리를 못하고 월요일 정비소를 방문해 보험처리를 하려다 보니 놓친 부분이 많았습니다. 

 

이에, 다른 분들은 실수가 없도록 고속도로 로드킬 발생 시 보험처리 방법과 신고방법에 대해 알려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고속도로 로드킬 보험처리 경험과 신고방법

 

 

 고속도로 로드킬 보험처리

 

로드킬이란 도로를 건너려는 야생동물이 자동차에 치여 죽는 사고를 말합니다.

 

보통 5~6월, 오전 1시~8시 사이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1. 고양이 2. 고라니와 너구리 3. 강아지

 

순으로 많이 발생한다고 하며 1년에 10만~30만 건의 로드킬 사고가 발생한다고 하니 새벽 운전 시 로드킬 사고에 주의를 기울이기를 바랍니다.

 

저 역시 새벽 2시 고속도로를 운행하다 고라니와 부딪쳤는데 커브길에 고라니가 갑자기 나타나 정말 놀랐습니다. 다행히 핸들을 꺾지 않아 2차 사고는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보험 자차 처리로 범퍼 수리를 하려다 보니 로드킬은 천재지변으로 분류되어 할증 없이 할인만 1년 유예된다고 합니다. 

 

단, 할증 없이 처리하려면 갑작스러운 로드킬 사고라는 것을 입증할 수 있는 블랙박스 영상을 증거로 제출해야 합니다.

 

뒤늦게 블랙박스 영상을 제출하려다 보니 당시 사고 영상이 덮어씌워져 찾을 수가 없었습니다. 블랙박스 영상 복원을 위해 여러 방법을 찾았지만 결국 실패하고 마지막으로 도로공사에 연락해 보니 다행히 관련 사진 및 영상을 구해 로드킬 사고를 입증할 수 있었습니다. 

 

로드킬 사고가 발생 시 블랙박스 영상 제출을 위해 사고 당시 영상을 미리 백업해 두시기 바라며 백업이 어렵다면 블랙박스 전원을 끄거나 메모리 카드를 빼서 블랙박스 영상이 지워지는 것을 예방하기 바랍니다. 

 

 

 고속도로 로드킬 신고방법

 

전국 고속도로에서 로드킬 사고로 동물이 사망했을 때

 

한국도로공사 콜센터

1588-2504

 

일반도로(국도, 지방도) 찻길 로드킬 사고 시

110

 

문자로 신고 시

지역번호 + 120

 

문자내용

1. 신고자 이름 / 전화번호

2. 해당 위치

3. 민원 내용 : 로드킬

 

재밌게 보셨다면 ♥공감 버튼을 한 번씩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