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와 이슈

우리 동네는 안전할까요? 부산과 서울에서 발생한 싱크홀 사고와 대비 방법

목차

     우리 동네는 안전할까요? 부산과 서울에서 발생한 싱크홀 사고와 대비 방법

     

    안녕하세요. '당근있어요' 입니다. 최근 몇 년간 우리나라에도 대도시를 중심으로 싱크홀 사고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5년 4월 13일 서울과 부산에서 같은 날 싱크홀 사고가 발생한 것은 이제 싱크홀 사고가 남일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오늘은 최근 일어난 서울과 부산의 싱크홀 사고를 중심으로 우리가 꼭 알아야 할 내용과 대비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리 동네는 안전할까요? 부산과 서울에서 발생한 싱크홀 사고와 대비 방법

     

    1. 싱크홀이란 무엇인가요?

    싱크홀은 갑자기 땅이 꺼지는 현상으로 원인은 자연 또는 인공적으로 땅 밑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그 위에 약해진 지반이 무너지면서 발생합니다. 

     

    원인으로는 자연적인 원인과 인공적인 원인으로 구분되는데

     

    자연적 원인

    집중호후로 지반이 약해지거나 지하 암석이 물에 서서히 녹아내리며 생기는 빈 공간이 원인 이 됩니다. 

     

    인공적 원인

    대형 건설 프로젝트인 지하철, 터널 공사 등으로 지반이 불안정 해지거나, 오래된 하수도 등에 누수가 주된 원인입니다. 

     

    특히 대도시에는 인공적인 원인이 사고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하수도, 통신선, 지하철 등 다양한 지하시설의 노후화와 고층 빌딩 공사 등 대형 공사로 지반의 약해지면서 싱크홀의 발생합니다. 

     

     

    2. 최근 싱크홀 사고

    2025년 4월 13일 부산과 서울에 싱크홀 사고가 발생했는데요.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부산 사상구 학장동 대형 싱크홀

    위치

    부산 도시철도 사상~하단선 공사 현장 인근

     

    규모

    가로 5m, 세로 3m, 깊이 약 4~5m

     

    특징

    "싱크홀이 발생할 것 같다"는 신고를 받은 후 안전 조치를 진행하던 과정에 싱크홀 발생

    원인은 하수 박스와 연결된 통신관로 손상으로 인해 빗물이 장기적으로 누수되며 지하 공간이 형성

    해당 공사 구간에서는 지난해부터 싱크홀 사고가 반복적으로 발생했으며 총 10건 이상의 땅 꺼짐 현상이 보고

     

     

    서울 마포구 애오개역 소형 싱크홀

    위치

    서울 지하철 5호선 애오개역 앞 차도

     

    규모

    직경 약 40cm, 깊이 약 1.3m

     

    특징

    인명 및 재산 피해는 없었으며 서울 서부도로사업소가 원인 조사와 복구 작업을 진행

     

    3. 싱크홀 사고 대비법

    이상 징후 즉시 신고

      - 땅이 심하게 내려 앉거나 균열이 생긴 것을 발견하면 지체하지 말고 관계 기관에 신고

     

     공사 구간 주의

      - 지하철, 터널, 빌딩 건설 현장 주변을 지날 때는 항상 주의를 기울임

     

     싱크홀 발생시

      - 사고 현장에서 즉시 멀리 이동한다.

      - 가능하다면 주변 사람들에게 위험 상황을 알려 차량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한다.

     

     

     마무리 글

     

    이제 싱크홀은 우리 일상에서 언제든 발생할 수 있는 실제적인 위험이 되었습니다. 위험한 장소를 지날 때는 아주 작은 징후라도 세심하게 관찰하고, 싱크홀 발생이나 의심 상황을 목격하면 즉시 해당 기관에 신고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이러한 신속한 대응을 통해 추가 피해를 막고, 우리 이웃들의 안전을 함께 지켜갔으면 합니다. 

     

     

    재밌게 보셨다면 ♥공감 버튼을 한 번씩 눌러주세요.!!!